본문 바로가기

헷갈리는맞춤법7

이따가? 있다가?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 이따가? 있다가?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우리 이따가 저녁 먹을까?", "잠깐 여기 있다가 가자."일상 대화에서 자주 쓰는 '이따가'와 '있다가',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 혹시 둘 다 맞는 표현일까요? 볼 때마다 헷갈리는 두 표현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알려 드릴게요!결론부터 말하면,'이따가'와 '있다가'는 둘 다 맞는 표현이지만, 의미와 쓰임새가 완전히 다릅니다.'이따가'는 '조금 뒤에'라는 뜻을 가진 부사이고, '있다가'는 동사 '있다'의 어간 '있-'에 어미 '-다가'가 결합한 활용형입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이따가'는 부사로서, '조금 지난 뒤에' 또는 '나중에'와 같이 시간의 경과를 나타냅니다. 그 자체로 문장에서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어로 쓰입니다.반면, '있다가'는 용언의.. 2025. 6. 1.
다행이? 다행히?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 다행이? 다행히?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다행이 잘 끝났어.”“다행히 큰일은 없었어.”비슷하게 들리지만 과연 어떤 표현이 맞는 말일까요?‘다행이’와 ‘다행히’의 차이를 정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결론부터 말하면‘다행히’가 맞는 표현입니다.‘다행이’는 잘못 쓰는 경우가 많지만,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틀린 표현입니다.왜 ‘다행히’가 맞을까요?‘다행히’는 ‘다행’이라는 명사에 부사형 어미 ‘-히’가 붙은 형태의 부사입니다.‘뜻밖에 일이 잘되어 운이 좋게’라는 뜻으로,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말할 때 사용합니다.‘조용히’, ‘정확히’, ‘용감히’와 같이 형용사 어근에 ‘-히’를 붙이는 규칙과 같습니다.예시다행히 큰 사고는 없었어.다행히 잘 마무리됐어.다행히 모두 무사했대.왜 ‘다행이’는 대.. 2025. 5. 11.
건들이다 vs 건드리다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 건들이다 vs 건드리다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왜 자꾸 건들여?”“나좀 그만 건드려”두 표현, 발음은 비슷한데 어떤 게 맞는 표현일까요?‘건들이다’와 ‘건드리다’의 차이를 정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결론부터 말하면‘건드리다’가 맞는 표현입니다.‘건들이다’는 틀린 표현입니다.왜 ‘건드리다’가 맞을까요?‘건드리다’는 표준어로, 아래와 같은 여러 의미로 쓰입니다.조금 움직일 만큼 손으로 만지거나 무엇으로 대다예: 모기를 손으로 건드렸다.상대를 자극해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불쾌하게 만들다예: 괜히 예민한 사람을 건드렸다가 다툼이 생겼다.부녀자를 꾀어 육체적인 관계를 맺다 (비유적으로도 사용)예: 남의 아내를 건드린 죄모두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뜻이며, 실제 회화·글쓰기에서도 널리 쓰입니다.예.. 2025. 5. 9.
믿겨지다 vs 믿어지다 | 뭐가 맞는 표현일까? | 쉬운 맞춤법 정리 믿겨지다 vs 믿어지다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그 말이 믿겨지지 않아요." "그 말이 믿어지지 않아요." 이 두 표현, 어떤 것이 맞는지 헷갈리시나요?'믿겨지다'와 '믿어지다'의 차이점을 명확히 정리해드립니다.결론부터 말하면'믿어지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믿겨지다'는 잘못된 표현입니다.'믿겨지다'는 이중 피동 표현이라 잘못된 것이죠. 추가로, '믿기게'는 '믿다'라는 동사의 어간 '믿-'에 '-기-'라는 명사형 전성 어미와 부사형 어미 '-게'가 결합한 형태입니다.이것은 "믿을 수 있도록" 또는 "믿게끔"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비문이 아닙니다.왜 '믿어지다'가 맞을까요?'믿겨지다'는 '믿-'에 피동 접미사 '-기-'와 '-어지다'가 모두 붙은 이중 피동 형태로, 잘못된 표현입니다.반면.. 2025. 5. 6.
맞히다 vs 맞추다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 맞히다 vs 맞추다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문제를 맞히다." "문제를 맞추다." 이 두 표현, 어떤 것이 맞는지 헷갈리시나요? 두 표현 모두 맞지만, 쓰이는 상황이 완전히 다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맞히다'와 '맞추다'의 차이점을 명확히 정리해드립니다.결론부터 말하면'맞히다'와 '맞추다' 모두 맞는 표현이지만, 의미와 용법이 다릅니다.'맞히다'와 '맞추다'의 차이점은?'맞히다'는 '문제에 대한 답을 틀리지 않게 하다'라는 의미로, 정답을 알아내거나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합니다.'맞추다'는 '서로 들어맞게 하다'라는 의미로,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하거나 조화를 이루게 할 때 사용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예시올바른 '맞히다' 사용:퀴즈 정답을 맞히다수학 문제를 맞히다숫자를 .. 2025. 5. 3.
안돼 vs 안되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 안돼 vs 안되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 메시지나 댓글을 쓸 때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중 하나가 바로 '안돼'와 '안되'입니다.발음은 똑같은데, 어떤 때는 띄어 쓰고 어떤 때는 붙여 써서 혼동하기 쉬운데요.이 포스팅을 통해 정확한 사용법을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1) '안돼'(띄어쓰기 X)는 이 자체만으로 쓸 수 없습니다. (2) '안 돼'(띄어쓰기 O)는 이 자체만으로 사용 가능합니다.(3) '안되'(띄어쓰기 X)는 이 자체만으로 쓸 수 없습니다.(4) '안 되'(띄어쓰기 O)도 이 자체만으로 쓸 수 없습니다. '자체만으로 사용하지 않는 예시'도 아래에서 더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 '안돼'는 어떨 떄 사용할까? (띄어쓰기 X)'안돼'는 '안 돼'의 오기이므로, .. 2025.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