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띄어쓰기2

받아들이다 vs 받아드리다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 받아들이다 vs 받아드리다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다.”“그 의견을 받아드리다.”발음은 비슷한데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받아들이다’와 ‘받아드리다’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맥락에 따라 둘 다 맞는 표현입니다.단, 의미가 전혀 다르므로 구분해서 써야 합니다. ‘받아들이다’를 사용할 때는?‘받아들이다’는 '어떤 것을 받아서 자기의 것으로 하다' 또는 '인정하고 수용하다'는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즉, 무언가를 인정하거나 수용할 때 쓰는 말입니다.예시그 제안을 받아들이다.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다.현실을 겸허히 받아들이다. ‘받아 드리다(받아드리다)’를 사용할 때는?‘받아 드리다’는 '받다'에 높임말 '드리다'가 결합하여, 상대방의 행동.. 2025. 5. 8.
안돼 vs 안되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 안돼 vs 안되 | 뭐가 맞을까? | 쉬운 맞춤법 정리 메시지나 댓글을 쓸 때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중 하나가 바로 '안돼'와 '안되'입니다.발음은 똑같은데, 어떤 때는 띄어 쓰고 어떤 때는 붙여 써서 혼동하기 쉬운데요.이 포스팅을 통해 정확한 사용법을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1) '안돼'(띄어쓰기 X)는 이 자체만으로 쓸 수 없습니다. (2) '안 돼'(띄어쓰기 O)는 이 자체만으로 사용 가능합니다.(3) '안되'(띄어쓰기 X)는 이 자체만으로 쓸 수 없습니다.(4) '안 되'(띄어쓰기 O)도 이 자체만으로 쓸 수 없습니다. '자체만으로 사용하지 않는 예시'도 아래에서 더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 '안돼'는 어떨 떄 사용할까? (띄어쓰기 X)'안돼'는 '안 돼'의 오기이므로, .. 2025.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