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크] IT 이슈

프로세스 플래닝과 객체 스케줄링 | 개념, 차이점

by 로밋 2025. 3. 23.

[쉽게 알아보는 프로세스 플래닝과 객체 스케줄링]

 

안녕하세요. 오늘은 생산 관리의 기본 개념 두 가지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릴게요.

 

1. 프로세스 플래닝(Process Planning)이란 무엇일까요?

프로세스 플래닝이란 쉽게 말해,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 때 처음부터 끝까지 어떻게 만들 것인지 계획하는 과정입니다. 무언가를 생산할 때, 막연하게 시작하면 낭비되는 시간이나 자원이 많겠죠? 그래서 각 단계에서 어떤 작업을 하고, 어떻게 연결할지 미리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간단한 예를 들어 볼까요?

김밥집을 운영한다고 생각해봅시다. 프로세스 플래닝은 먼저 쌀 씻고 밥 짓기 → 재료 손질하기(당근, 햄, 단무지 등) → 김 펼치고 밥 올리기 → 재료 넣기 → 김밥 말기 → 김밥 자르기 → 포장하기처럼, 김밥 만드는 과정 전체를 미리 순서대로 설계하고 정리하는 작업입니다.

 

즉, 프로세스 플래닝은 생산 과정의 흐름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미리 결정하는 일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2. 객체 스케줄링(Object Scheduling)이란 무엇일까요?

객체 스케줄링은 프로세스 플래닝과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조금 더 세부적인 개념입니다. 프로세스 플래닝이 전체적인 생산 흐름을 정하는 일이라면, 객체 스케줄링은 각 생산 과정에서 필요한 개별적인 부품이나 재료(객체)를 언제, 어디에, 어떤 순서로 투입할지 결정하는 일입니다.

 

예시로 쉽게 이해해볼까요?

자동차 조립 공장에서는 타이어, 엔진, 차체 등 다양한 부품이 필요합니다. 만약 엔진이 준비되지 않았는데 먼저 타이어를 조립하면 작업 효율이 떨어지겠죠? 그래서 엔진 투입 일정과 타이어 조립 시기를 미리 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객체 스케줄링입니다.

 

객체 스케줄링을 한마디로 말하면, "적절한 때에 적절한 부품(객체)을 생산 라인에 투입하도록 계획하고 관리하는 일"입니다.


간단한 정리!

 

프로세스 플래닝: 제품 생산이나 서비스 제공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 과정을 미리 설계하고 결정하는 것

(예시: 김밥 만들기의 단계별 과정 설계)

 

객체 스케줄링: 각 단계에서 필요한 부품이나 재료를 언제, 어디에, 어떤 순서로 투입할지 세부적으로 계획하는 것

(예시: 자동차 생산 시 엔진, 타이어 등의 투입 일정 관리)

 


이제 두 개념이 조금 더 명확하게 이해되셨길 바랍니다. 사실 어려운 용어 같아도, 실생활에서 늘 우리가 하는 일상적인 계획과 별반 다르지 않답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또 만나요!